제목 [종료] 해양금융 아카데미 참가자 모집(~9.19.까지)
작성자 부산경제진흥원 조회 1554 작성일 2022-09-19

 

 

 


* 상세 강의내용 아래 참조

 

지역특화 금융인재 양성교육 해양금융 아카데미교육생 모집 공고

 

부산광역시 및 부산경제진흥원에서는 청년 NEXT10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금융 중심지인 BIFC 내 부산국제금융진흥원과 함께 지역전략사업 중 하나인 해양금융 인력양성을 위하여2022 해양금융 아카데미교육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교육에 참가할 교육생을 모집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2년 9월 1

부산경제진흥원장

 

1. 프로그램 개요

 

❍ 프로그램명지역특화 금융인재양성교육해양금융 아카데미

 

❍ 지원대상: 금융권 취업을 희망하고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미취업 청년(18세 이상~만 34세 이하)

※ 주 30시간 이하 단기 파트타임 근로자의 경우 증빙서류 제출 시 지원 가능

① 주민등록지 상 부산거주중인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졸업예정자 포함)

② 부산지역 외 거주자 중 부산지역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졸업예정자 포함)

 

❍ 교육기간: 2022. 9. 26.() ~ 9. 30.(), 14:00~18:00(4시간)

❍ 교육장소부전역 인근 강의장

❍ 지원사항

수강료 무료교재 제공 등 전체 교육 무료

수료완료 시 부산국제금융진흥원 명의의 수료증 지급

※ 수료기준

① 기초+심화강의(10)중 80%이상 수강

② 자기소개서 컨설팅(1일차참석

③ 해양금융 실무전문가와의 대화 1회 이상 참석

❍ 교육내용

10(기초 3+심화 7구성의 해양금융 특화 강의

실무전문가와의 대화시간을 통한 지역 금융기업 이해도 향상 컨설팅

 ❍ 강의 상세구성

 

일 자

강의주제

강 사

9. 26.()

해운과 선박투자

성낙주(한국해양진흥공사 본부장)

1. 해운사의 주요 수익자산인 선박에 대한 투자목적과 형태 그리고 그 결정요인 등에 대해 고찰

2. 선사가 선박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금융의 개요와 주요 특성조달방법선박금융 제도의 변천과정과 유형

3. 대표적인 물적금융 영역인 선박금융의 주요 취급절차와 차주/임대인 기능을 하는 편의치적국에서의 해외 SPC의 설립이유그 효과

4. 주요 선박금융 기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해 봄 : BBCHP, BBC, 자본시장법에 의한 펀드구조선박투자회사법에 의한 리스금융, Joint Venture 설립방식 등에 대해 설명하고시간이 허용될 경우 Tax Lease에 대한 고찰

5. 선박금융 취급시 주요 실무 검토항목에 대해 설명 차주/리스사선박가격금융구조금융당사자의 선정주요 금융조건(통화금리기간상환방법 등), 채권보전방법 등

<학력>

- 2003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전공국제경영)

- 1988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부전공경영)

<경력>

現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업운영본부장

前 한국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신산업금융실 전문위원뉴욕지점장해외사업단장선박·항공기금융팀장 등

해양금융 개관

이기환(해양금융대학원 원장)

9. 27.()

1. 해양금융의 범위와 중요성에 대해 소개

2. 해양금융의 원천에 대해 설명

3. 글로벌 해양금융 동향 소개

4. 간접금융시장에서의 해양금융조달 현황에 대해 소개

5. 직접금융시장에서의 해양금융조달 현황에 대해 소개

<학력>

- 1993 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Business School(경영학 박사)

- 1984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

- 1982 중앙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학사)

<경력>

現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 원장

前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

국내외선박금융시장 동향

이진영(한국수출입은행 부부장)

1. 해운금융의 이해를 위한 주요 3(조선업해운업선박금융)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 설명하고각각에 대한 이해 필요성 설명

2. 3(조선업해운업선박금융)의 시장변화를 각각 설명하고현 시장 상황에 대한 이해 도모

 조선사의 수주동향선종별 사이클의 위치선박금융 추세 자료 제시 등

3. 상기 이해를 기반으로 조선업에 슈퍼싸이클이 도래하였는지에 대해 논의

 선박의 공급과 수요 곡선을 기반으로 설명

4. 상기의 변화가 해운금융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어떠한 기회가 오고 있는지 제시

<학력>

- 2017 Henley Business School(MSc in International Shipping and Finance)

- 2008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경력>

- ’22년 한국수출입은행 심사평가단 부부장 (조선사해운사 신용평가)

- ‘09~’21년 선박금융부해양프로젝트금융부 등 해양금융 부서 근무

- ‘07.12월 한국수출입은행 입행

Green Finance 동향

이재민(해양금융연구소 대표이사)

1. 세계 친환경 목표프로그램 추진 동향과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

2. 녹색금융(Green Finance)과 지속가능성연계금융 (Sustainablilty - linked Finance : ESG 금융)의 주요 내용

 일반금융과의 차별성해양금융에 대한 적용 사항

3. 금융기관들의 녹색금융 취급을 최근에 제정된 규범의 주요 내용

 포세이든 원칙/녹색금융 원칙/지속가능성연계금융 원칙 등

4. 해양금융에서의 녹색금융 사례

 최근 세계 선박금융 시장에서 선박자금조달을 위한 녹색대출 및 채권 발행 사례지속가능성연계 금융 사례

 일반금융과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다룸

5. 향후 해운산업에서의 녹색금융 전망

 향후 녹색금융이 표준일 수 밖에 없는 이유

<학력>

- 1995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경제학 박사

- 1993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경제학 석사

- 1980 연세대 상경대 응용통계학과 학사

<경력>

現 해양금융연구소 대표한국수출입은행 사외이사

前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 교수

前 한국수출입은행 부행장

9. 28.()

협조융자의 구조와 현황

강병태(한국해양진흥공사 비상임이사)

1. 해양금융의 주 조달원인 협조융자(Syndicated Loan)의 개요특징 및 주요 참여자와 그 역할에 대해 소개

2. 선주가 금융주선을 의뢰하기 위해 금융기관앞 발송하는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RFP)의 내용과 작성방법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해양금융조달에 대한 기초능력 배양

3. 선주로부터 RFP를 수령한 금융기관이 금융주선 의사를 피력하는 금융제안서(Proposal)의 내용과 특징 및 주간사 선정의 Process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효율적인 해양금융조달기법 습득

4. 선주로부터 기채의뢰서(Mandate)를 발급 받은 주간사은행(MLA)의 권한과 책임특히 대주단(Syndicate) 구성과 Pricing 기법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향후 해양금융 담당자로서의 자질 배양

5. Syndicated Loan에 수반되는 각종 금융계약서의 기본구조와 주요 내용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해양금융에 대한 전문성 배양

<학력>

- 2018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경영학 박사)

- 1993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경영학 석사)

- 1986 동국대학교 경제학과(경제학사)

<경력>

現 한국해양진흥공사 비상임이사

前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 초빙교수

前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 부사장/해양금융담당 본부장

선박펀드의 구조와 현황

김우석(한국자산관리공사 팀장)

1. 선박펀드의 구조

2. 선박펀드 사례

3. 금리의 중요성

4. 환율의 중요성

5. Loan to Value의 중요성

6. Timing의 중요성

<학력>

- 2021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경영학 박사)

- 2019 University of Sheffield(MBA)

- 2004 CASS Business School(MSc in Shipping, Trade & Finance)

- 1999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해사수송과학부

<경력>

現 한국자산관리공사 해양투자금융처 팀장

前 SMBC 한국선박금융 담당

前 한국선박금융(프로젝트 매니저

前 상선항해사前 해군장교

9. 29.()

선박금융과 법률

정대(한국해양대학교 해사법정학부 학부장)

1. 금융에 있어서 법률의 중요성

2. 영미법과 계약자유의 원칙

3. 국제금융거래에서 준거법 조항분쟁해결조항재판관할권 조항의 이해

4. 선박금융의 법적 구조의 이해

5. 선박금융 관련 판례의 이해

<학력>

- 2001 건국대학교 대학원(법학박사상법)

- 2000 미국 Southern Methodist Univ. Law School(LL.M)

- 1995 건국대학교 대학원(법학석사상법)

- 1992 건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법학사)

<경력>

現 ()은행법학회 회장

現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법정학부 학부장

前 54·55·57회 사법시험 시험위원

해운시장위험과 신용위험관리

윤희성(한국해양대학교 교수)

1. 해운의 개념과 거래구조 즉해운이 이윤을 창출하는 구조

2. 시장위험의 개념과 중요성

3. 해운업 시장위험의 구조와 측정방법

4. 시장위험의 관리방법

5. 시장위험관리를 위한 운임파생상품 소개

6. 금융기관의 신용위험 관리

7. 시장위험과 신용위험의 관계

<학력>

- 2017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경영학 박사)

- 1991 영국 런던대학교 Bayes Business School(MSc in Shipping, Trade & Finance)

- 1987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과

<경력>

現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 교수

前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연구본부 본부장

前 HMM 벌크영업기획본부 본부장

前 SK해운 벌크사업본부 본부장

9. 30.()

환경규제와 선박금융

임상섭(한국해양대학교 교수)

1. IMO 환경규제 소개

 배출가스 규제 History 및 목표

 - GHG 규제의 핵심 사항

 규제 대응방안 기술적운항적시장적 조치

2. IMO 환경규제에 따른 선박 시장(신조선중고선영향

 신조선 시장

 중고선 시장

3. IMO 환경규제에 따른 선박금융 시장 영향 및 기회

<학력>

2018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운경영학과(경영학 박사)

2014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운경영학과(경영학 석사)

- 2007 한국해양대학교 운항시스템공학부

<경력>

現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조교수

前 배재대학교 무역물류학과 조교수

前 현대상선(현 HMM) 1등 항해사

STO를 활용한 선박금융

이승철(SK해운 고문)

1. 해운의 거래구조 즉해운이 이윤을 창출하는 구조에서 출발하여 수송수단을 확보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선박투자의 중요성 설명

2. 선박을 구매하는 데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선박금융의 유형과 선박금융의 특징을 간단히 소개한 후 세계 선박금융시장의 트렌드 파악

3. 가장 중요한 변화의 하나인 디지털화(digitalization)’의 한 축으로 진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선박금융을 조각투자를 통한 크라우드펀딩의 모습으로 백지상태에서 그려본 후 그 효과를 가늠

4. 현실로 돌아와서 기존의 법적 규제 하에서 가능한 방법을 모색해보고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나기 위한 제도로 규제샌드박스 소개

5. 규제샌드박스 하에서 부동산으로 진행된 사례를 몇 가지 제시하고 자본시장법 하에서 STO기반의 선박금융이 구조화되는 모습 제시

6. 블록체인기반 선박금융의 실현 가능성 구상

<학력>

- 2021~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박사과정)

- 2004 London University, Bayes Business School(MSc in Shipping, Trade & Finance)

- 1989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부

<경력>

現 SK해운 임원실 고문

前 SK해운 운영본부 본부장

前 SK해운 1항사

 

 

※ 강사 일정 및 강의 구성은 변동 될 수 있음

 

 

2. 모집 및 선정

❍ 모집기간: 2022. 9. 1.() ~ 9. 19.(월) 18:00까지

 

❍ 신청방법부산일자리정보망(www.busanjob.net)을 통한 신청

 

부산일자리정보망 – 참여하기 교육훈련 - ‘금융’,‘아카데미등 검색

 

❍ 선정인원: 60

 

❍ 전형일정

 

- (1단계서류전형→ (2단계종합평가→ (3단계최종 선정※ 면접전형 없음

 

 

<신청 자격요건 및 제출서류 >

※ 모든 서류는 공고일(9.1.)기준

 

 

신청자격요건

제출서류

 ① 공고일 이전 부산지역 내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졸업예정자 포함) 청년

 (청년18세 이상 34세 이하)

(필수신청서 및 자기소개서(양식)

(필수재학증명서 또는 졸업증명서

(필수주민등록등본

  공고일 이전 등본상 부산거주자 중 지역 외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졸업예정자 포함) 청년

 ❍ 공고일 기준 미취업 청년

 (고용보험 미가입자주 30시간 미만 단기근로자)

(해당 시) 근로계약서 등 주30시간 미만 단기근로자 증빙서류

 교육과정 참여에 지장이 없어야 함만약 중도이탈불참 등으로 교육에 지장을 초래하면 그에 따른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음

 

3. 선정절차

❍ 1단계서류검토

부산거주 및 부산지역 대학 관련 서류 확인

청년 여부 확인(공고일 기준 만18세 34

❍ 2단계서류전형 통과자를 대상으로 종합 평가 실시(면접전형 아님)

제출한 신청서를 통한 교육 참여의지 등 종합평가

❍ 3단계지원대상자 최종 선정선정된 대상 개별 연락(9.22.限)

 

4. 문의사항

 

❍ 부산경제진흥원 일자리지원단(051-600-1882)

 

5. 유의사항

 

 참가 신청서는 온라인으로만 신청할 수 있으며 방문 및 우편 제출 절대 불가

 

 사실 확인 의뢰 결과 제출서류와 다른 부분 발견 시 심사탈락(제출서류 일체)

 신청서 등에 허위기재 또는 기재착오구비서류 미제출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신청자의 책임으로 함

 신청자는 자격요건 등이 적합한가를 우선 판단하여 신청서를 접수하기 바라며제출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신청서나 각종 증명서류의 기재내용이 사실과 다른 사항이 추후 확인 될 경우 지원 대상에서 취소됨